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페치조인
- MappedSuperclass
- n+1문제
- 값타입
- fetch join
- JPA
- DB
- DiscriminatorValue
- 엔티티 매핑
- relational database
- 플러시
- 분할상환분석
- 영속성전이
- commit
- 정렬
- Flush
- 즉시로딩
- Algorithm
- Spring
- 영속성 컨텍스트
- Amortized Analysis
- Embeddable
- 순수jpa
-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- Spring Data JPA
- ROLLBACK
- 지연로딩
- relational DB
- DiscriminatorColumn
- 고아객체
Archives
- Today
- Total
Jun's note
[DB]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? 본문
728x90
JPA 강의를 듣다가,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잠깐 언급된 적이 있다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정확히 알아보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.
관계형 테이터베이스란 무엇일까?
1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elational database)
- 테이블(table)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테이블은 키(key)와 값(value)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베이스이다.
-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한 종류이다.
- 데이터의 종속성을 관계(relationship)로 표현하는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이다.
2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Relation 구조
- 릴레이션(relation): 데이터들을 표로 표현한 것 (=table, entity)
- 릴레이션은 스키마와 인스턴스로 구성된다.
- 스키마: 속성(attribute)들의 집합
- 인스턴스: 튜플(tuple)들의 집합, 즉 실제 값들의 집합
3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특징
- 데이터의 분류, 정렬, 탐색 속도가 빠르다.
- 오랫동안 사용된 만큼 신뢰성이 높고, 어떤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해준다.
- 기존에 작성된 스키마를 수정하기가 어렵다.
- 데이터베이스의 부하를 분석하는 것이 어렵다.
참고
www.tcpschool.com/mysql/mysql_intro_relationalDB
'Programming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DB] 트랜잭션(Transaction)이란? (0) | 2022.03.22 |
---|
Comments